Korean War Legacy Project

Soonok Chun

Bio

Soonok Chun was born on December 17, 1936 in the village of Gimhae, a rural region near the southern tip of Korea that escaped the harsh realities of the war. She attended Daedong Elementary School, but her formal education would come later in life. She and her family suffered from Typhoid fever which left her with facial disfiguration due to the lack of medicines to treat the illness. In 1954, she acquired work at the Swedish Association for Children Protection in Busan where she discovered her passion for working with children, mostly from the orphanages. For the first time, she saw the real human suffering and devastation brought on by the war. Her connections at the Swedish Hospital in Busan led her to Sweden in 1961 to receive surgery for her facial disfiguration, and it was in Sweden that she had the opportunity to further her education and pursue her dreams of helping children. She settled there and raised her family, though she traveled to Korea often for that was her home and she wanted her children to feel connected to their heritage. She came to love the Swedish people for their generosity to help all people with compassion and equity, and she is extremely proud of her home country for their perseverance and prosperity shown after such a destructive war.

Video Clips

The Strong Points of Korea and Sweden

Soonuk Chun compares and contrasts the strong points of Korea and Sweden. She explains how both nations excelled at showing mercy and kindness during a time of war. She describes how the Swedish were selfless and showed compassion for everyone. She acknowledges the noble efforts of the Koreans, yet points out the social class system prevented equity for all.

Tags: Impressions of Korea

Share this Clip +


Share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mf6hOa3P7w&start=1410&end=1590

Share from this page:
https://koreanwarlegacy.org/interviews/soonok-chun#clip-1

Embed:

The Miracle of Korea

Soonuk Chun describes the sense of pride she felt when revisiting Korea later in life and seeing the remarkable recovery. She explains the importance of younger generations needing to learn how their parents lived during the war and how poor they were in order to appreciate what they have today. She calls today's Korea a miracle.

Tags: Impressions of Korea,Living conditions,Message to Students,Pride,Prior knowledge of Korea,South Koreans

Share this Clip +


Share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mf6hOa3P7w&start=1590&end=1770

Share from this page:
https://koreanwarlegacy.org/interviews/soonok-chun#clip-2

Embed:

Video Transcript

 

옥: My name is 내 이름은..이름이 네 가지나 됩니다. 자그마치 왜냐하면은 처음에는 이름이 김순옥인데, 스웨덴 병원에 있으면서 스웨덴 간호원이 자기 조카, 자기가 좋아하는 조카 이름이 아니타라고, 그래가지고 아니타 김으로 통했어요. 그러다가 또 남편을 만나가지고 그 분이 천씨니깐

Ok: My name is.. I have four names, because my original name is Kim Soonok, but in the Swedish Red Cross Field Hospital, the Swedish nurse called me as Anita, which was the name of her favorite nephew so, I was called as Anita Kim there. Also after getting married, I had to follow my husband’s family name, Chun, so..

00:30

한: 네.

Han: Ok.

옥: 스웨덴, 그니까 서양에서는 남편 성을 따르잖아요.

O: In Sweden, I mean in Western countries, women need to follow the family name of husband after marriage.

한: 네.

H: Yes.

옥: 그래서 또 천순옥이고, 내 가끔 농담으로 좋은 일을 할 때는 이 이름을 쓰고 별로 좋지 않은 일을 할 때는 저 이름을 쓴다 이런 농담도 하죠.

O: So, I became also Chun Soonok. Sometimes I joke that if I do good then I use this one and if not, use another one.

한: 네. 그러면 천순옥, 지금은 천순옥이라고 말씀하셨는데 원래 성함은 김순옥이고 또 아니타 김으로도 불렸고 그러면 세 가지네요. 그렇죠?

H: So, you mentioned that your name is Chun Soonok, but you have two other names, Kim Soonok and Anita Kim. So you have total three, right?

01:00

옥: 네.

O: Yes.

한: 생년월일이 어떻게 되세요?

H: Could you tell me your birthday?

옥: 36년 12월 17일.

O: December 17, 1936.

한: 그리고 어디서 태어나셨어요?

H: Where were you born?

옥: 김해.

O: Gimhae.

한: 김해~

H: Gimhae.

옥: 네.

O: Yes.

한: 아이고.

H: Uh-huh.

옥: 좋은 곳이죠.

O: It is wonderful place.

한: 네. 그러면 올해 연세가.. 36년이시면.

H: Yes, so your age is…you were born in 1936..

옥: 83됐죠.

O: 83.

한: 네. 김해에서 태어나시고 거기에서 자라셨죠?

H: Ok. So did you grow up in Gimhae where you were born?

옥: 그렇죠.

O: Yes, I did.

한: 네. 그 때

H: Ok. Then

01:30

한: 부모님하고 형제, 언니 오빠 또는 남동생 이런 가족 관계를 설명해 주실래요?

H: Could you tell me about your family such as parents, siblings, older sister or brother, younger brother, so on.

옥: 그러니까 부모님하고 그리고 오빠 한 분 또 우리는 여형제가 다섯이에요.

O: I had parents, one older brother, and we were six sisters.

한: 네.

H: Mm-hmm.

옥: 그래서 인제 여형제 중에서는 내가 맏딸이고.

O: I was the oldest among our sisters.

한: 아, 예.

H: You were.

옥: 네.

O: Yes.

02:00

한: 그래서 거기 김해에서 계속 사셨죠?

H: So, did you live in Gimhae?

옥: 그렇죠. 그래서 나 같은 사람은 하나님이 지나친 복을 주셔가지고 나는 전쟁같은 건 몰랐어요. 그 때만해도 겨우 인제 국민학교 1학년 정도 되니깐

O: Yes, I did. I was so blessed by God that I had no idea about the war. At that time, I was first year of elementary school.

한: 어느 국민학교를 다니셨어요?

H: What school did you go?

옥: 바로 그야말로 내가 태어난 곳

O: It was where I was born.

한: 김해 초등학교?

H: Gimhae elementary school?

옥: 네.

O: Yes.

한: 네.

H: Ok.

옥: 김해 초등학교가 아니고,

O: No, it was not Gimhae,

02:30

대동 그 김해 대동 면 그러니깐 대동학교.

O: But Daedong, Daedong-myeon in Gimhae. Daedong school.

한: 대동학교

H: Daedong school.

옥: 그러니까 전쟁이라는 건 이야기는 들었지만 전쟁을 경험해본 건 아니고 또 어머니가 항상 하시는 이야기가 우리는 이북에서 쳐들어오면 갈 데가 없으니깐 그냥 일하고 살아야 된다. 죽어도 여기에서 죽어야 되고

O: I have heard of the war but I didn’t experience that. Always my mother said that if North Korean soldiers invaded, since we would have nowhere to go, just stay and work thinking to die there.

03:00

옥: 그런 식으로 우리는 뭐 피난 다니고 그런 것도 없고 잘 살지는 못했는데 중농 정도 하고 일손 데리고 살고 하니깐 평생을 살면서 배고프다 그런 건 몰랐어요.

O: And there wasn’t evacuation or so. Well, we were not so rich but kind of middle class since we had our own helpers. So, I didn’t experience any hunger at all.

한: 그러니까 김해가 워낙 밑에 있으니깐 공산군이 쳐들어와서 낙동강 주변까지 있었지만은 거기는 영향이 없었단 말씀이시죠?

H: You mean that Gimhae is located quite low, so the North Korean forces were located around the Nakdong-river but your village was not affected?

옥: 네.

O: No, it wasn’t.

03:30

한: 북한군이 포격도 거긴 안 했나요?

H: There was no bomb shot from the North Korean soldiers?

옥: 없었어요.

O: No.

한: 없었죠.

H: It wasn’t.

옥: 한 번도 없었어요.

O: Not at all.

한: 정말 복이 많으시네요.

H: You were so lucky.

옥: 네.

O: Yes.

한: 그래서 대동 국민학교를 나오시고 그 다음에 어디 중학교, 고등학교를 다 하셨나요?

H: So you graduated Daedong elementary school, then what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did you go?

옥: 나는 한국에서 공부하는 거는 기회가 그리 많지 않아가지고, 공부라고 하는 거는 나는 평생을 공부한 사람이에요.

O: Well, I didn’t have many chances to study in Korea. Of course I have studied for all my life.

한: 아.

H: Uh-huh.

옥: 네.

O: Yes.

한: 그럼 스웨덴에 오셔가지고 여기서

H: So you came to Sweden in oder to

04:00

옥: 스웨덴에 왜 왔냐하면은 내가 다른 사람같지 않고 얼굴에 흉터가 있잖아요. 이게 내가 선천적으로 태어나면서 이런 게 아니고

O: I came to Sweden because.. as you can see I have scars on my face unlike other people. This was not congenital but

한: 네,

H: Ok.

옥: 우리 가족 중 아버지 혼자만 남기시고 가족 거의 다 장질 구사를 앓았어요. 한 번 그 끝에 내가 이렇게 되고 그럼으로 해서 수술을 받았죠.

O: All of my family members except for my father had typhoid fever. That is why I have scars like this, so I got surgery.

04:30

옥: 그래서 내가 스웨덴 병원에 환자로 입원했어요.

O: That is why I was hospitalized in the Swedish hospital.

한: 그 장질 구사를 언제 앓으셨어요? 전쟁 중이었어요?

H: So, when did you get the typhoid fever? During the war?

옥: 아니죠.

O: No, it wasn’t.

한: 아니죠? 훨씬 전이죠?

H: I thought so, then much earlier than that?

옥: 내가 아주 어렸을 때, 그래서 태어날 때 뭐가 좀 이상하게 생긴 사람들은 수술도 쉬운데 나같은 경우는 그게 아니고. 그래가지고 내가 여기 스웨덴에 오기 전에 맨 마지막에 일한 곳이

O: When I was young. If I had this when I was born, its surgery would have been much easier but my case was not. So, before coming to Sweden, the last place I worked for was

05:00

옥: 스웨덴 아동 보호 연맹이에요.

O: The Swedish association for children protection.

한: 스웨덴 아동 보호 연맹

H: The Swedish association for children protection.

옥: 아동 보호 연맹. 그러니까 그게 뭐냐면은 처음에는 그게 영국 아동 보호 재단이었었는데, 스웨덴 사람들이 물려받아가지고 거기에서 내가 일을 할 때 나도 모르게 내 주위에 있는

O: Association for children protection. It was originally British association but it was taken over to the Swedish. When I worked there, I didn’t know but

05:30

옥: 영국군 의사가 처음에 나를 영국으로 보낼까 했대요. 그러면서 자기들이 어레인지 다 해가지고 어느 날 하루 갑자기 나보고 스웨덴 안 가겠느냐고 그래서 스웨덴 뭐하러 가느냐고 내가 왜냐하면 그 때만 해도 그 때는 나이가 24살이었으니까 내 집도 있었고 내 당장 직장도 있었고

O: The British doctor tried to send me to England first and they arranged it. And one day, all of sudden, they suggested me to go to Sweden, but I said why I go there since at that time I was only 24 and had my own house and job.

한: 네.

H: Mm-hmm.

옥: 아주 그 뭐라 그럴까

O: Well, how can I say..

06:00

옥: 생각하는, 앞으로 무슨 일을 해야할까 라는 생각도 있었고 내 이러면은 뒷일이 앞으로 들어가는데

O: Well, I had to think of my future. Oh, the stories can be upside down.

한: 괜찮습니다. 제가 다 정리할 테니까 걱정 마세요.

H: It’s ok. I will make it right, don’t worry.

옥: 네. 뒷일이 앞으로 들어가는데, 내가 스웨덴 연맹에 있으면서 스웨덴 간호원하고 자주

O: Ok. This is the story which happened later. When I was in the Swedish association I visited orphanages

06:30

옥: 그 고아원 같은 데를 방문을 했다고요. 그리고 우리가 일하는 데가 부산시 그러니까 서구 대정동이라고 주로 이북 피난민들이 와서 사는 곳이었어요.

O: with the Swedish nurse. And I worked in Busan, I mean Daejeong-dong , Seo-gu where refugees lived.

한: 음.

H: Um..

옥: 내가 한국에서 태어났지만은 나는 한국 사람이 그렇게 고생하고 못 산다는 건 그 때까지는 몰랐어요. 내가 키가 별로 크지 않은데 구부리지 않고 들어갈 수 있는 집이 거의 없었다고요.

O: I was born in Korea, but I didn’t realize how hard the living conditions of Koreans were until then. Even though I was not that tall, it was common to see the houses which were too small to enter without bending my back.

07:00

옥: 그리고 이건 판자집인데 판자집이 그야말로 바람이 술술 들어오는 그런 집. 심지어는 깡통을 뭐라 그러노. 뜯어가지고 그걸로 벽을 만들어 사는 그런 사람들. 그래서 내가 아동 보호 연맹에서 일을 하면서 내 포부가 고아원에 가면은 너무 아이들이 정말 불쌍한 아이들이

O: Most of those houses were shack having no walls against the wind. To makes worse, there were houses with walls made by cans. When I worked in the association, I had a goal. Whenever I went to the orphanage, there were so many children

07:30

옥: 너무 많기 때문에 그야말로 제대로 자라지 못하고 정신 박약아들 막 앞으로 뒤로 흔들면서 영양부족으로 머리는 드문드문 나고 배는 이만큼 이래 되고 팔 다리는 이렇게 가늘고 그런 아이들은 내가

O: who were so poor. From the low intelligent waving their heads to malnutrition having little hair, swollen belly, and too thin legs and arms. So, I

한: 지금 북한에서 보는 아이들 같죠?

H: Like children in North Korea?

옥: 네. 그런 아이들은 내가

O: Yes, there were too many.

08:00

옥: 너무 많이 봤고 거기 원장이라는 사람들 자기네 아이들은 외국으로 유학도 보내고 또 그 뭐라고 그럴까 내가 일하고 있는데 그 어느 보육원에서 그 일하는 사람들이 탄원서까지 써가지고 와서 선생님 좀 도와달라고 이유인 즉은 애들이 사망을 하면은 그것도 사과 궤짝같은 것도 아까워서

O: Also, I found out that the principle of the orphanage sent his kids abroad to study and while I was there, the staffs of the orphanage filed a petition asking for help. When children died, the principle tried to save a box like an apple box to put the dead body in.

08:30

옥: 그런 데다 애들을 둘도 넣는다는 거에요. 그래서 밤에 암매장 하고 그러면서 시에서 나오는 배급은 그대로 다 받아먹고 그런다고 그래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크게 없었지만 그 때 내 생각에 나는 그야말로 시집간다 이런 생각은 아예 없었고 나는 이렇게 이 백명, 삼 백명 아이들을 모아놓고 내가 기를 게 아니고

O: So, he used to put two bodies in one box. Every night dead bodies were buried in secret. But he got every support from the government to manage it. Well, there were not many things we could do, but at that time, I didn’t think of marriage but taking care of those two or three hundreds of children.

09:00

옥: 제가 한 삼십 명은 기른다고 생각했어요. 그게 내가 앞으로 할 일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여기에서 스웨덴 가겠느냐 스웨덴 온 거는 여기 수술 좀 더 받으러 온 거에요.

O: Not all of them, well, I though I could care for about 30. I believed that was what I had to. When I was asked to go to Sweden, I decided to accept the suggestion to get more surgery.

한: 음.

H: Um..

옥: 그런데 가려고 생각을 하니깐 아 이거는 이거는 아니다 내가 아이들을 기르려면은 내가 애들을 좀

O: And at the time of leave, I realized that to take care of children, I had to have more knowledge

09:30

옥: 아이들에 대한 교육이 있어야 된다 이래가지고 각 학교를 갔어요. 거기도 다 적혀있지만 처음에는 보모 학교를 나왔어요.

O: about children. Therefore, I entered school. As mentioned in the document, I graduated the nanny school first.

한: 여기 스웨덴에서

H: Here in Sweden?

옥: 여기 스웨덴에서

O: Yes, in Sweden.

한: 언제 오셨어요, 스웨덴에?

H: When did you come to Sweden?

옥: 61년

O: In 1961.

한: 61년에?

H: In 1961?

옥: 네. 61년 3월 2일날 도착해가지고

O: Yes, I arrived on March 2, 1961.

한: 그러면은 제가 저 질문을 좀 드릴게요. 이제 계속 얘긴 하실건데

H: Ok, then let me ask you something first before moving on.

옥: 네.

O: Ok.

10:00

한: 그 스웨덴 아동보호 연맹이라는데 거기 언제부터 어떻게 일을 하시게 됐어요?

H: From when did you work in the Swedish association for children protection?

옥: 내가 그러니까 일을 어떻게 하게 됐냐면은 참 사람은 이렇게 생겼는데 하나님이 주신 복이 너무 많아가지고 내가 뭐 이렇게 뭐라고 그럴까 여기저기 이력서를 내가지고 일을 찾거나 그런 일은 거의 없었어요. 내가 스웨덴 병원에 그러니까 수술을 받고 있을 때

O: Well, I would like to explain how I could work there. I look like this but God has blessed me so much. I rarely submitted my resumes or so. When I had surgery in the Swedish hospital,

10:30

한: 언제 스웨덴 병원에서

H: When was it?

옥: 54년

O: In 1954.

한: 54년에요?

H: 1954?

옥: 네.

O: Yes.

한: 왜 스웨덴 병원에서 수술을 받으셨죠?

H: Why did you get surgery in the Swedish hospital?

옥: 그러니까 조금 전에 얘기대로 장질 구사 그 때만 해도 페니실린 안티비오티가 있었으면 이렇게 되진 않았어요.

O: As mentioned before, cause I had typhoid fever, if we had penicillin at that time, I shouldn’t have been like this.

한: 그렇죠, 그렇죠.

H: Yes, right.

옥: 그 땐 그게 없었어요.

O: But we didn’t have it.

한: 근데 이거는 외상이잖아요.

H: Well, what you have is external injury.

옥: 네.

O: Right.

한: 근데 스웨덴 병원에서

H: But did the Swedish hospital

11:00

한: 이걸 고쳐주겠다고 한 거에요? 이 코의 모양을?

H: suggest to give you surgery? To fix your nose?

옥: 네.

O: Yes.

한: 성형 수술을 하신 거죠?

H: Did you get plastic surgery?

옥: 네. 성형 수술을

O: Yes, I did.

한: 근데 부탁을 하셨어요? 아니면 어떻게 그렇게 하게 되셨어요?

H: Did you request? Or how did it work?

옥: 찾아갔죠.

O: I visited them.

한: 아~ 나를 고쳐달라?

H: to request the surgery?

옥: 네.

O: Right.

한: 그래서

H: So

옥: 그래서 픽업 돼가지고 이제 수술을 받는데 그 뭐라그럴까 수술을 받고 있을 때 이미 거기 책임 의사선생님이 나보고 일하라고 그래서 나는

O: So, I was picked up and got the surgery. When I was there, the doctor in charge of my surgery asked me to work there.

11:30

옥: 간호원 자격증은 없지만 간호원 일을 그대로 했어요.

O: I didn’t have any nurse license, but I just worked like other nurses.

한: 일하라고 해서 그냥 거기에서 일을 하시게

H: Since you were asked to work there.

옥: 네.

O: Yes.

한: 그게 몇 월이에요? 1954년…

H: What month? In 1954…

옥: 난 그런 생각은 몇 월인지 그런 생각은 안 나는데 54년..

O: I can’t remember the month, but it was 1954…

한: 초? 중? 말?

H: Early? Middle? Or End of the year?

옥: 중 정도 될 것 같아요.

O: Seems that It was middle of the year.

한: 네.

H: Ok.

옥: 그러는데 아주 저 뭐라 그럴까

O: Then, so..

한: 그래서 거기서 그 스웨덴 병원에서

H: So, please tell me

12:00

한: 어디서 무슨 일을 하셨는지 좀 얘기를 해주세요.

H: what you did in the hospital.

옥: 저는 그러니까 성형외과 병동에서

O: Well, in the plastic surgery wing,

한: 네.

H: Yes.

옥: 환자들을 돌보고

O: I cared for patients.

한: 네.

H: Ok.

옥: 그 다음에는 치과, 치과의사 치과에서 일을 좀 하고 그러고는 스웨덴 병원이 문을 닫았다고요. 닫았는데, 여자 그러니까 소아과 의사 한 분

O: And then I also worked in the dentist and after that the hospital was closed. And there was a lady, I mean, the pediatrician

12:30

옥: 닥터 바이놀라라고 그 다음에는 또 안나 컬린 앨란드리라고 간호원 한 사람이 스웨덴 병원 문 닫고 나서 남았어요.

O: Dr. Binola and there also was a nurse, Anna Kurlin Alandry. They stayed after the hospital was closed.

한: 근데 스웨덴 병원은 57년에 닫았잖아요.

H: But the hospital was closed in 1957.

옥: 네, 근데 잠깐만요, 그런데 57년에 문 닫고 나서 그 사람들 두 사람이 남았어요. 여자 의사 한 사람, 스웨덴 간호원 한 사람. 근데 그 사람들이 나보고 같이 일하자고.

O: Yes, it was. But, after closed in 1957, there were two people left behind. One female doctor and one Swedish nurse. And they asked me to work with.

13:00

옥: 그래가지고 우리 세 사람이 그 주위에 다니면서 아이들을 그러니까 결핵예방주사 BCD를 놔주고 또 다른 일들도 좀 하기는 했는데 일일이 생각은 안 나는데 주로 그러니까 애들 예방주사 놓는 거 그 일을 했어요.

O: So, we, three of us, went around giving children tuberculosis vaccine, BCD and so on. I can’t remember every work I did but our main job was giving the vaccines to children.

한: 그러면, 제가 이제 여기 온 게 스웨덴 병원에 일을 한 거를 중심으로 해야 하기 때문에

H: This interview was arranged to hear your experiences in the Swedish hospital,

13:30

한: 그 스웨덴 병원에서 일을 하실 때 어디에서 사셨어요?

H: so could you tell me where you lived while you worked there?

옥: 스웨덴 병원 안에서

O: In the hospital.

한: 안에서?

H: In there?

옥: 그럼요.

O: Sure.

한: 그러면 스웨덴 병원 간호사들하고 같이?

H: With the nurses of the hospital?

옥: 그럼요.

O: Of course.

H: 아하.. 그럼 아주 사시는 게 괜찮았겠네요, 그렇죠?

한: Uh-huh.. it must be great for you to live in, right?

옥: 그럼요.

O: Yes, right.

한: 아.. 그리고 월급도 받으셨나요?

H: Were you paid?

옥: 아, 그럼요.

O: Of course, I was.

한: 한 달에 얼마 정도 받으셨어요?

H: How much was it a month?

옥: 생각이 그 일일이 생각이 안 나요. 그 때 스웨덴 간호원들 받는.. 스웨덴 사람 말고

O: I can’t remember exactly, but well, the Swedish nurses not Swedish..

14:00

옥: 한국 사람들 받는 월급은 받았을 거에요.

O: It might be same amount with those of Korean nurses.

한: 그럼 거기서 다 먹여주고 또 재워주고

H: So your meals and residence were supplied by the hospital.

옥: 그럼요.

O: Yes.

한: 그러니까 뭐 그 때로서는 굉장히 좋은 Job이었네요? 그리고 그 스웨덴 사람들하고의 관계는 어땠어요?

H: It seemed like a really good job considering the national condition at that time. How was your relationship with the Swedish?

옥: 좋았어요. 네. 그리고 57년 문 닫으면서

O: It was good. And when the hospital was closed in 1957,

14:30

옥: 그 아까 이야기대로 두 분이 남으면서 그 사람들이 나하고 같이 일하자 해가지고 그 근방에 다니면서 주로 결핵 예방주사 이런 걸 봐주고 그 다음에 아주 도움이 필요한 아이들은 그 사람들이 여기저기 contact가 있었기 때문에. 한 가지 예를 들어서 고아원에 가면 아이들이, 다 죽게 생긴 아이들이 있잖아요. 그럼 그런 애들 pick up 해가지고

O: the two I mentioned were left behind and they asked me to work with. So, we cared for children around there by giving the tuberculosis vaccines and if there were children who really needed any help, since the Swedish had several contacts.. Let me give you an example. When we go to an orphanage, there were children who were dying, then we picked them up and

15:00

옥: 그 때는 아동 자선병원이라고 부산에 있었어요. 데려다 병원에 입원시켜서 애들이 나으면 다시 데려다 주고. 이런 일도 하고 그러다가 그게 끝나고 나니깐 그 다음에 그 때는 영국 아동구호재단이었었는데 같은 간호원이에요. 안나라고. 나보고 같이 거기 가서 일하자고.

O: took them to a hospital called Pusan Children’s Charity Hospital in Busan. And when they got healed and brought them back to the orphanage. After that, there was British association for child care, and there was a nurse named Anna. She asked me to work with there,

15:30

옥: 그래가지고 그게 스웨덴 아동구호연맹으로 넘어오면서 계속 일했죠. 그러다가 내가 이야기한 그대로 스웨덴에 오게 되고 그 다음에는 스웨덴에서 내가 떠나기 전에 맞아, 내가 여기서 아동 교육을 좀 받고 가서 애들을 제대로 길러야 된다는 게 내 포부였으니까.

O: and it was changed into the Swedish association for child care, and I kept working there. After that as I mentioned, I moved to Sweden, and before leaving Sweden, I thought that I had my own goal to  care for children with knowledge about children.

16:00

옥: 그래서 여기서 거의 그러니깐 한 3년 반을 공부했죠. 거기 쭉 나와있는 대로.

O: That was why I studied about 3 and a half years here as described in the documents.

한: 여기 학교 이름이 뭐였죠?

H: What was the name of the school?

옥: 거기 적혀있어요. 여기 그 state로 영어로 하면. 거기 한 장 있는 데 한 번 보세요. 지금은 여기서 말하는.

O: It is written on. The State in English,.. well please look through a piece of the document. Well, here in Sweden, it is…

한: 아니 선생님이 직접 말을 해주세요. 알고 계세요? 무슨 학교였죠?

H: Could you let us know by yourself? Do you remember what school was?

옥: 지금은..

O: Currently…

한: 그 때 당시에

H: At that time..

16:30

옥: 그 때 당시에는 뭐라 했냐면은 seminary for human resources economy 뭐 그 다음에 그 안에 여러 가지가 있었어요. 근데 지금 현재로는 leda högskola, 우리 나라로 같으면 사범대학 college 이런 거죠.

O: At that time, it was called as seminary for human resources economy. And there were multiple departments. And currently, it is leda högskola, which is like college in Korea.

한: 네. 그런데 그 스웨덴 병원에서 일하실 때 언어가 어떻게 통하셨어요?

H: How did you communicate with your colleagues?

옥: 그럼요. 통했죠.

O: There was no language problem.

한: 어떻게?

H: How?

17:00

한: 뭘로 통하셨어요? 영어로?

H: How did you communicate? In English?

옥: 영어

O: In English.

한: 그 때 영어를 아셨나요?

H: Could you speak in English then?

옥: 영어를 잘 하지는 못했지만은 했어요.

O: I didn’t do very well but I could.

한: 아. 영어를 어디에서 배우셨어요?

H: Um, where did you learn?

옥: 아니 근데 조금 전에 그랬잖아요. 나는 평생을 공부하는 사람이니깐

O: Well, I just mentioned that I have studied for all my life.

한: 근데 그 때 한국에서 어렸을 때는 영어를 공부하기가 힘들었잖아요.

H: But when you were young, it was not easy to study English in Korea, right?

옥: 아니 근데.. 언어에 소질이 조금은 있는가봐요. 그런 것도 있고.

O: No, it wasn’t. But I think I had some talents in language, so..

한: 그래서 그럼 스웨덴 병원에 계실 때 영어로 의사소통을 하셨어요?

H: Then in the hospital did you communicate with the Swedish people in English?

17:30

옥: 그럴 때는 일일이 기억이 안 나는데 영어로 주로 했다 하면은 그건 거짓말이 되는 거고 내 생각에는 글쎄 뭐 별로 어려움 없이

O: Well, I can’t remember exactly but of course I might not use only English but I think that it was not that difficult to communicate.

한: 어려움 없이

H: You had no problem?

옥: 네.

O: No.

한: 그리고 스웨덴에 64년에 오셨을 때,

H: When you came to Sweden in 1964,

옥: 61년

O: in 1961

한: 61년에 오셨을 때 그러면 스웨덴 말을 하셨어요?

H: When you came here in 1961, could you speak in Swedish?

옥: 안 했죠.

O: No, I didn’t.

한: 못 했죠?

H: You couldn’t?

옥: 네.

O: No.

한: 아이고, 되게 힘드셨겠네.

H: You might have hard time then.

옥: 아니 그 스웨덴 사람들이 나보고 너는 왜 스웨덴 말을 안 배우느냐고

O: The Swedish people wondered why I didn’t learn Swedish.

18:00

옥: 아, 내가 스웨덴 말 배워서 뭐 할거냐고 난

O: Of course I thought it was not necessary since

한: 돌아갈 거다.

H: You would be back to Korea.

옥: 난 1년 있으면 갈 건데. 왜냐하면 그 쪽에서도 언제 올 거냐 이런 편지도 계속 오고. 네 자리는 우리가 꼭 남겨놓을 거다. 이런 식이었거든. 그러니까 나는 뭐 그 때 집 있었고 그야말로 직장 있었고 또 내가 조그만 사업 하는 게 하나 있었어요. 왜냐하면 애들을 기르려면 그야말로 돈이 있어야 되잖아요.

O: Cause I would be back in one year. Also I received letters from Korea mentioning when I would be back and they would save my position. So, well, I had my house and job at that time. Moreover, I ran a small business. To care for children, it was necessary to have money.

18:30

옥: 그러다가 그 나중에는 아까 이야기대로 아니다, 이건 아니다 내가 좀 더 알고 가자 해가지고, 그래서 이제 내가 공부를 67년 6월에 끝내고 또 운좋게도 그 때 우리 클래스가 열 두사람 밖에 없는데 스웨덴 아이들 일곱은 아직 직장을 못 구했는데 다섯 사람이 직장을 구했는데 이러면 꼭 내 자랑하는 것 같은데

O: After that, as I mentioned, I thought that it was not enough for my goal, I had to learn more. So, I completed my study in June, 1967 and luckily, at that time, there were 12 students in my class. Among them 7 didn’t get jobs but 5 including me were recruited. Maybe it’s like bragging but

19:00

옥: 나는 직장이 됐어요, 이 스웨덴에서. 그래서 스톡홀름시 보모학교 교사로 1년 일 하다가, 하다가 그 다음에 제가 한국으로 갔어요. 69년에. 69년 1월이지 싶은데, 그 때 한국 가 가지고 73년, 73년 우리가

O: I had a job in Sweden. I worked as a teacher of nanny school in Stockholm. After that I came back to Korea in 1969. It must be January, 1969. And in 1973, we

19:30

옥: 다시 올 때가 그 때가 7월 말인가 그랬는데 그 때까지 그러니까 그 부산에서 저기 부산 보모학교 그 저기 학원 원장으로 제가 5년 일을 했죠.

O: when we were back to Korea was end of July. And I worked as a chief of Busan nanny agency for 5 years.

한: 네.

H: Yes.

옥: 그 때

O: At that time,

20:00

옥: 우리나라에 우리 그 뭐라 그럴까 교사들이 그리 많지 않았어요. 그래가지고 우리가 1년에 한 40명씩 학생들을 배출해 냈거든. 그래서 지금 그 사람들이 여기 저기 뭐 어린이집 원장도 하고 뭐 노인 복지 같은 데도 뭐 일들을 많이 하고 있어요. 그러다가 우리 애들 할아버지, 지금은 돌아가신 지 3년 됐는데

O: there were not many teachers in Korea. So we produced about 40 teachers a year, who are currently working as a principle of kindergarten or nursing home, etc. And my husband, who passed away about 3 years ago,

20:30

옥: 그 때는 뭐 자기도 직장 가지고 있고 하지만은 자기가 공부를 좀 더 해야겠다고 해서 그리고 그 분이 싫어한 게 그야말로 그 뭐라고 하나 조그만 쇳덩어리 하나 가지고 사람 죽이는 거 자기는 그런 거 못 보겠다 하면서 자기도 좋은 직장 가지고 있고 뭐 이런 등등 다 했지만은 우리가 그 때 계획할 때 한 5년 생각하고

O: At that time he had a job but he wanted to study more. Well, he didn’t like to kill people with a small mess of iron. He didn’t want to stand it any more. Even though he had a good job, we made 5-year plan

21:00

옥: 자기 그러니까 여기 와서 박사 학위 하고 다시 돌아간다고. 근데 박사 학위는 했어요.

O: to take doctor’s degree in Sweden and to be back to Korea. Anyway, he received the degree.

한: 그러니까 한국에서 결혼을 하신 거에요?

H: So, were you married in Korea?

옥: 네. 하고 여기 와서 그러고는 그러는데 살다가 보니깐 애들도 저거 친구들이 여기 있다 그러고 그 때 한국의 물가가 갑자기 너무 올라가지고 우리가 거기 가서 아파트 하나

O: Yes, after that we came to Sweden, but as time goes by, my kids had their friends here and also the price level of Korea rose exponentially. So, we couldn’t think of buying an apartment,

21:30

옥: 아파트 하나 살 형편도 안 되더라고요. 그러면서 어쩌고 저쩌고 하다 보니깐 그리고 애들이 어리니깐 조금 기르고 있는데 여기서도 직장 구하는 건 뭐 그렇게 힘들고 그런 건 없었는데 학교는 시간제로 주잖아요. 근데 시간이 별로 많지 않아서 내가 무슨 일을 했냐면은 여기 와서

O: buying an apartment there. And as time goes by, I raised my kids and it was not that difficult to find a job. But at school it was time based. Since I didn’t have that much time, what I did here was

22:00

옥: 스톡홀름 시 어린이집 원장을 했어요. 그러니까 스웨덴 내가 직원들을 많이는 안 데리고 있었지만 약 한 15명에서 20명 정도 스웨덴 사람들. 그리고 그것도 내가 구한 게 아니고 어떤 사람이 여기 와서 일 좀 안 하겠느냐고 그래서 가서 하게 되고. 어.. 한 가지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O: managing a kindergarten as a chief in Stockholm. I didn’t have many Swedish staffs, about 15 to 20. Also it was not for me to find the job but someone asked me to do so, that was why I did that. There is one thing I would like to say that

22:30

옥: 내가 어린이집 원장을 할 때 그 때 스톡홀름 시에 속한 어린이집이 한 500군데가 됐는데 우리가 그 5군데 모범 어린이집으로 선정이 됐는데, 내가 일하는 데가 됐어요. 그러니까 그거는 내가 한국 사람으로서 첫째는 직원들이 말을 잘 듣고

O: when I managed the kindergarten, there were about 500 kindergartens in Stockholm. Five of them were selected as excellent kindergartens and mine was one of them. Such could be realized because even though I was Korean, my staffs were so cooperative.

23:00

옥: 그래서 재밌게 일했어요. 네.

O: So, it was a great time for me to work there.

한: 그러니까 여사님은 한국 김해에서 사시면서 전쟁을 진짜 다른 사람들은 경험했지만 그것도 안 하시고.

H: In short you lived in Gimhae, Korea but you didn’t experience the war like others.

옥: 네.

O: No, I didn’t.

한: 그리고 참 복이 많으셔가지고 그 스웨덴 병원에서 수술도 받으시고

H: And you were so blessed that you could get surgery in the Swedish hospital.

옥: 네.

O: Yes.

한: 그리고 거기서 일하시고.

H: also worked there.

옥: 네.

O: Right.

한: 또 여기 와가지고 또 수술 받으시고.

H: After that you got the surgery again in Sweden.

옥: 네.

O: Yes.

한: 수술할 때 여기 스웨덴에 와가지고 수술할 땐 돈을 어떻게 하셨어요? 그냥 무료로 해준 거에요?

H: When you got the surgery in Sweden, how did you deal with the expenses? Was it for free?

23:30

옥: 그냥 무료로 해준 거에요.

O: Yes, it was free.

한: 그러니까 이 스웨덴이란 나라는 여사님께 굉장히 고마운 나라네요.

H: This country, Sweden, is really good for you.

옥: 그럼요.

O: Sure.

한: 네.

H: Right.

옥: 네.

O: Yes.

한: 그래서 스웨덴을 어떻게 생각하세요?

H: So, how do you think of Sweden?

옥: 스웨덴은 나하고는 아주 그 굉장히 인연이 깊은 나라고 저는 스웨덴 사람들을 좋아하는 사람에 속합니다. 꼭 나한테 잘해줘서가 아니고 이 사람들의 그 장점이 내가 어떤 때에는 우리 한국 사람들도

O: I believe I have had great relations with Sweden and I also one of those who like the Swedish. It is not just because they are good to me, but they have strong points that sometimes I hope we Koreans

24:00

옥: 이런 거는 좀 배웠으면 하는 게, 내가 한국 사람들 나는 여기에 몇 십 년을 살았지만은 함발은 항상 하고 있어요. 지금도. 함발을. 어떤 사람들은 나보고 여기 스웨덴에 살 건데 왜 자꾸 한국 한국 하느냐. 그런데 내가 하는 소리가 아무리 천 년을 살다가 죽어도 나는 한국 사람이지 내가 스웨덴 사람이 될 수는 없지 않느냐.

O: would learn. I have lived in Sweden for many years but I always say that I am Korean. Some say why I still think of Korea while living in Sweden. But I tell them even though I will have lived here for a thousand of years, I will be still Korean not Swedish.

24:30

옥: 근데 그 우리 한국 사람들의 장점도 많이 있지만 내가 보는 스웨덴 사람들과 한국 사람들의 다른 점이랄까 이거는 우리 한국 사람들은 아는 사람끼리는 굉장히 뭐라 그럴까 베풀 수도 있고 친절하고 등등 하잖아요.

O: Of course we Koreans also have a lot of strong points but well, there is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Swedish. Koreans are so kind and mercy to people who are familiar with.

25:00

옥: 그렇지만 모르는 사람에 대해서는 굉장히

O: But to strangers, they are too

한: 인색하죠?

H: tight?

옥: 인색하잖아요. 근데 이 사람들은 내가 보면은 모르는 사람이나 아는 사람이나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먼저 생각해요. 내가 보면은. 직원들 내가 데리고 있는 중에서도 별로 생활이 넉넉하지 않은 사람인데도 항상 외국에 못 사는 아이들을 도와주는 사람들이 있었거든요. 그런 거.

O: tend to be tight. But the Swedish, they usually think of people who need help regardless of having relations or not. Some staffs I had were not better off that much but they had consistently helped poor children in foreign countries.

25:30

옥: 그 다음에 이 사람들은 그야말로 높은 사람이라고 꾸벅꾸벅 절하고 낮은 사람이라고 무시하고 하시하고 이런 게 좀 적어요.

O: Also, the Swedish tend not to respect or ignore people based on their social levels.

한: 네.

H: Right.

옥: 우리나라 사람들에 비해서. 그런데 우리나라 사람들은 그게 조금 지나쳐요. 잘 살고 권력 있는 사람들한테는 지나치게, 어떤 때 내가 한 번은 뭐라 했냐면은 우리 아이들한테 나는 사람들이 너무 저렇게 굽신거리고 너무

O: Less than Koreans. On the other hand, Koreans are too much. They tend to flatter to people who are powerful and better off. One day, I said to my kids that such people who flatter or

26:00

옥: 있는 사람, 그 뭐라 그럴까. 이 권력 앞에서 말도 못하는 사람들. 내 기분에는 참 구역질이 날 것 같으다. 사람은 그 뭐라 그럴까 동등한 거잖아요. 그런 게 우리 한국 사람하고 여기 스웨덴 사람들하고 다른 점인 것 같아요.

O: who are silent before authority, when thinking of them, I felt throwing up. Well, every person is equal. I think t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Swedish.

한: 그러면 이 스웨덴에서 사시면서

H: While you have lived here Sweden,

26:30

한: 한국을 다시 가보신 적이 있으세요?

H: Have you been to Korea again?

옥: 그럼요. 있죠.

O: Sure, I have.

한: 그러면 김해는 전쟁의 영향을 덜 받았다 하더라도 그 때는 굉장히 저희 나라가 가난한 건 아시죠?

H: You may know that Gimhae was not affected by the war but Korea was very poor at that time?

옥: 네.

O: Yes.

한: 근데 가장 최근에 가 보셨을 때 한국을 보시면서 어떤 생각을 하셨어요?

H: Then what did you think when you recently visited Korea?

옥: 첫째는 우리 애들 할아버지가 살아계실 때, 친구가 차하고 운전수를 내줘가지고 우리가 한 이틀동안

O: First, when my husband was alive, my friend borrowed her car with a driver, so for about two days,

27:00

옥: 전라도 쪽으로 여러 군데를 돌아서 계속 입에서 나오는 이야기가 ‘기적이다, 기적이다.’ 그러면 그 말에 다 포함이 되죠? 그러면서 특히 이제 우리 애들 할아버지 이야기로는 옛날에는 여기 도로가 이랬는데 기적이다. 기적이다. 이러고. 그리고

O: we traveled around Jeonlla-do province. And we kept saying, it is a miracle, miracle. Everything is included in the word, right? Also, my husband said that this road was quite different in the past and he also said it was a miracle.

27:30

옥: 아주 그 뭐라 그럴까 뿌듯하고 내가 꼭 한국을 가서만이 아니고 좀 여행도 많이 한 사람 중에 속하는데 다른 나라 이렇게 여행을 하다 보면은 그야말로 삼성 첫째 엘지 또 이렇게 또 그야말로 그 뭡니까

O: How can I say, we felt so proud and as a traveler not only to Korea but also around the world, I could see Samsung first and LG and…

한: 자동차

H: Vehicle.

옥: 네. 아니 뭐 그 비행장에 가면은 물건 끄는

O: Yes, no, it is for carrying out items in the airport.

한: 카트

H: Cart.

옥: 네.

O: Yes.

28:00

옥: 그러면은 아 참 우리 한국이 이 정도로 너무 마음이 뿌듯하고 그러는데 가끔은 꼭 좋은 것만 것 아니고 특히 그 자라나는 젊은 세대들, 야 이거는 아닌데, 쟤들이 우리 어머니 아버지들이 어떻게 살았다는 걸 좀 쟤들이 알아야 되는데 그리고 어느 정도 가난했다는 것도 좀

O: I’m really happy to see this developed Korea but sometimes, especially thinking of the young generations, they need to know how their mothers and fathers lived and how poor they were

28:30

옥: 알아야 되는데 이런 게 좀 아쉬웠어요. 내가 스웨덴 아동보호 재단에서 일할 때 심지어는 아이들이 너무 배가 고파서 학교 가는 길에 그 닭 똥도 주워 먹었다는 소리를 들을 정도였어요. 그 정도 배고픈 아이들도 있었는데 그 때 내가 한국에 가 보면 애들이 밥도 먹다가 그냥 아무렇게나 버리고 근데

O: but I was sorry they had no idea. When I worked in the Swedish association for children protection, I was told that they were so hungry that they picked up shit of hens to eat. There were a lot of children suffered from such hunger in Korea but when I visited Korea last time, I saw children just left their food behind or threw it away.

29:00

옥: 아쉬워한 것은 그 어머니 아버지들이 이야기를 안 하시더라고요. 본인이 가져간 것은 제대로 먹어야 한다든지 이런 교육이 조금.. 예.

O: I was so sorry because their mothers and fathers didn’t say anything about that. I think it is essential to educate their children to take their own food or so.

한: 그 한국을 떠나실 때가 61년도 아니에요?

H: Wasn’t it 1961 when you left Korea?

옥: 네.

O: Yes, it was.

한: 그 때 한국을 떠나시면서 한국이 오늘날 같이 이렇게 발전할 거라고 생각하셨어요?

H: Did you expect that Korea could be developed like this when you left?

옥: 저는 희망이 있었어요. 있었지만 그렇게 빠른 시일 내에

O: I had such hope but I didn’t think that it could be within so short time like this.

29:30

옥: 그 정도로

O: That much.

한: 될 줄은 모르셨죠?

H: You didn’t expect?

옥: 몰랐죠. 네. 그리고 내가 79년도에 여기, 전 여기 스웨덴에 와 가지고 한인 사회 일도 좀 했어요. 거기 뭐 거기에도 나와 있겠지만 했는데, 한국 학교 학생들 그 다음에 여기 입양아 가족들 내가 한 45명을 데리고

O: No, I didn’t. When I came to Sweden in 1979, I joined in Korean society to work with. As mentioned in the documents, I took 45 members including Korean students and adoptive families

30:00

옥: 한국 그러니까 방문을 한 적이 있었어요. 그 때는 우리 한국 정부에서 여러 가지 대우를 잘 해주셨어요. 그야말로 의사, 간호원까지 저 하면서 국내를 다니면서 이 사람들한테 구경시켜 주는 그런 기회도 있었고.

O: to Korea, I mean visited there. At that time, we were treated very well by Korean government. Even doctors and nurses were with us during visit. We guided them during visit in Korea. We had a lot of chances like that.

한: 스웨덴 사람 아니면 한국 사람?

H: Swedish or Korean?

옥: 스웨덴 주로 스웨덴 사람. 네. 그리고 조금 전에

W: Mainly the Swedish. And right before,

30:30

옥: 우리 한국이 그러니까 처음에 제가 여기 와서 그러니까 한국 같으면 호적 등본 이런 걸 떼는 데가 있잖아요. 그 때는 교회에서 했다고요. 교회에 가서 호적 등본을 떼는데 Korea Japan이라고 써요. 쓸라고 보면, 그래서 내가 이건 아니라고. 우리는 Korea가 한 나라지, 우리가 Japan에 속해있는 게 아니라고.

O: when I came here at first, well you know, in Korea there is an agency issuing a certified copy of family register. At that time in Sweden, we had to get it at church. When I went there to get it, I found that the country was written as Korea Japan. So, I said it was not. Korea is independent country, not included in Japan.

31:00

옥: 심지어는

O: Furthermore,

한: 어디서, 한국에서?

H: You mean where? In Korea?

옥: 스웨덴에서

O: In Sweden.

한: 스웨덴에서?

H: In Sweden?

옥: 네. 그래서 내가 이 사람들이 한국에 대해서 이렇게 모르고 있고 한국을. 그런 적도 있었고.

O: Yes. At that time, the Swedish had no idea about Korea that much. There was such happening.

한: 그 무슨 말씀이세요, 그러니까 여기에 스웨덴에서 사실 때 몇 년도에요?

H: What do you mean by that, so it happened while you were in Sweden? When it was?

옥: 그게 61년에서 63년 아마 사이에 일이지 싶어요.

O: That might be from 1961 to 1963.

한: 그런데

H: So

옥: 호적등본이 필요해서

O: I needed the certified copy of my family register.

31:30

한: 여기서?

H: You mean here?

옥: 여기서

O: Yes,

한: 그러니까 여기도 호적등본이라는 게 있어요?

H: Is there also a certified copy of family register in Sweden?

옥: 있어요. 그러니까 여기도 자기 그 person number 가 있고 다 있거든. 그 때 무슨 일이 있었냐면, 그 때는 교회에, 자기 관할 교회에서 취급을 하기 때문에. 그랬더니 이.. 그래서 내가 그런 일이 있었고. 내가 처음에 여기 오니깐 스웨덴 사람들이

O: Yes, it is. The Swedish also have their personal number or so. At that time, the church under one’s jurisdiction dealt with it. So, it happened then. And when I came to Sweden, some had knowledge of  South Korea but

32:00

옥: 물론 한국에 대해서 아는 사람들은 조금 알고 있지만 딱 아는 게 세 가지였어요. 한국, 전쟁, 가난. 이 세 가지가 그게 한국이에요. 그런데 내가 여기서 공부하고 68년에서 69년 사이 1년 동안 스톡홀름 시 그러니까 보모학교 선생으로 일을 할 때 어느 날 우리 학생들이 나보고 한국에 대해서 이야기 해줄 수 있느냐고 그러더라고요.

O: others knew only three things about Korea – Korea, war and poverty. Korea was defined with those three words. From 1968 to 1969, for one year, I worked as a teacher of nanny school in Stockholm. One day, my students asked me to share history of Korea.

32:30

옥: 그래서 내가 어, 그러지 하고 내가 처음 시작을 내가 그랬어요. 우리 대통령이 그 때 박정희 대통령이었으니까. 우리 대통령 여기 모셔다 놓으면 20시간 주무시고 4시간 정치하시면 된다 이러니까 우리 학생들이 그게 무슨 소리냐고 그래서 내가 대답을 했죠. 생각을 해보라고. 우리나라하고

O: So, I began to tell them, well, at that time Korean president was President Park Chung-hee. So, I told them that if our president came to Sweden, he could sleep for 20 hours and use only 4 hours for state affairs. My students didn’t understand what it meant, so I explained that considering

33:00

옥: 여기 스웨덴하고 첫째는 그야말로 나라 면적을 따져도 우리는 4분의 1밖에 될까 말까 하고 그 다음에 여기는 지하자원도 풍부하고 우리는 그런 것도 없다. 그 다음에는 우리는 전쟁을 치렀다. 이 나라는 전쟁이 200년 이상 없었지 않느냐. 물론 여기도 옛날에는 못 살았지만 등등 이런 이야기를 하면서 이 많은 인구, 그러면서 제가 그랬어요. 스웨덴 여기 북극, 스웨덴 같은 나라는

O: the land size, Sweden was four times larger than Korea’s and also Sweden had a lot of natural resources but not in South Korea. Also, we experienced the war. But Sweden didn’t experience any war for the last 200 years. Of course, Sweden was also not rich country either before. Anyway, I shared such details with students. In addition, I told them Sweden was located around the North pole.

33:30

옥: 그야말로 세계 대 강국들이 그렇게 넘겨보는 나라가 아니다, 위치적으로. 물론 소련이 가까이 있으니까 저기 하기는 하지만 그렇지만 우리는 그야말로 우리나라는 위치적으로 이 세계의 아주 중요한 곳에 있기 때문에 세계 대 강국이라는 나라들은 다 우리를 그냥 두지 않는다. 이제 이런 그런 설명들을 쭉 했어요. 그랬더니 얘들이 그러냐고.

O: That was why powers around the world didn’t watch for a chance geographically. Of course, Soviet union (Currently, Russia) was near. However, since Korea was located in very important spot, many powers around the world didn’t leave us alone. I gave them such explanations and they finally got to know.

34:00

한: 맞는 말씀이세요. 그런데 아까 저희 인터뷰를 시작하기 전에 선생님이 저에게 왜 이런 일을 하냐고 물어보셨잖아요?

H: It was great explanation. By the way, you asked me why we are doing this before the interview.

옥: 네.

O: Yes.

한: 그랬더니 이제 설명을 해 드렸더니 아 이런 거는 여기도 해야 하지만 한국에서 해야 한다고 그러셨어요. 왜 그렇게 생각하세요?

H: And after being told about the reason, you mentioned that this should be carried out not only here but also in Korea.

옥: 왜 한국에서 해야 된다고 생각하냐면 첫째 한국 젊은이들이 내가 이야기를 하기 전에 제가 느끼는 거는

O: The reason I mentioned like that is first the Korean young, well before starting my stories, I would like to share how I felt.

34:30

옥: 이거는 좀 건방진 소리 같은데

O: It may sound arrogant..

한: 괜찮아요.

H: It’s fine.

옥: 외국에서 오래 살아서 그런지는 몰라도 우리나라의 물질 문명이 그야말로 물질 문명은 급속도로 올라갔는데 정신 문명은 어떤 데는 그 자리에 있어요. 어떤 사람들은. 근데 이게 맞질 않아요. 근데 그런 의미에서 옛날에 그게 첫째 젊은 사람들이 좀더

O: Well, maybe I can feel like that since I have lived abroad for a long time, but Korea has faced very rapid economic growth, but unfortunately, morality in some parts still stays in the past. It seems unbalanced. In this regard, first, I believe that the young people

35:00

옥: 우리 역사도 알고 우리나라가 그야말로 어떻게 살았다는 걸 알면서 아낄 줄도 알고 베풀 줄도 알고 이렇게 살아야 되지 않느냐 하는데 지나치게 그러니까 뭐라 그럴까 개개인 그러니까 아주 이기적인 사람들이다 그러니까 내가 많이 느꼈어요.

O: need to know more about our history. How we lived in the past. They have to learn how to save and give. But I felt they seem too self-centered.

한: 네. 그리고요? 그래서 뭘 가리키고, 뭘 가르쳐야 될 것 같으세요?

H: Right, then what do you think we should let them know?

35:30

옥: 첫째는 첫째는 우리나라가 그러니까 아이들에게 전쟁이 어디에서 시작됐다는 것부터 똑똑히 가르쳐야죠.

O: First of all, about Korea, I mean, we need to let them know obviously where the war came from?

한: 네. 어디에서 시작됐어요?

H: Would you tell me where it was from?

옥: 그야말로 북에서 쳐들어 왔죠. 근데 요즘 들으면은 뭐 그것도 말도 안 되는 소리가 들리기도 하는데, 근데 애들은 가르치기에 달려 있잖아요. 어려서부터.

O: Of course it occurred due to invasion of North Korea. But recently, I’ve heard that some say ridiculous words, but you know, for the young, it depends on education.

36:00

옥: 그리고 그 때 그야말로 할아버지, 할머니들, 어머니, 아버지들이 얼마나 고생을 하고 어떻게 살았다는 걸 그걸 가르치면서 현재 그야말로 주어진 환경을 환경에 그러니까 좋게 살고 있는 게 좋은데 너무 한쪽으로만 기울어져 있는 것 같더라고요.

O: Also, we should let them know how hard our grandparents and parents generations lived at that time and make them realize thankfulness of their good living conditions. I think they do not consider this.

36:30

한: 아주 중요한 말씀이세요. 그리고 그 스웨덴 병원 부산에 있었던 스웨덴 병원에서 일하실 때 그 때에 관한 질문을 제가 좀 더 드릴게요.

H: Very good point. Well, from now on I would like to ask you about episodes in the Swedish hospital in Busan you worked.

옥: 네.

O: Ok.

한: 그 때 그 스웨덴 병원에서 일을 하시면서 이제 한국 전쟁이 53년에 끝난 다음부터는 대부분이 다 한국 사람들을 치료했습니까?

H: While you worked there, all the patients were Koreans after the ceasefire in 1953?

옥: 그 때는 그랬어요. 그랬는데 완전히 그러니까 따로

O: Well, yes. But it was separated.

37:00

옥: 그 유엔군들 치료 받는 데가 따로 있었어요. 근데 그 때는 그 사람들이 그리 많지 않았을 거에요.

O: Completely, the treatment place for the UN forces. But at that time, I believe that there were not many UN soldiers.

한: 그래서 그 거기까지도 한국 사람들을 다 받았어요?

H: Then, the place was also occupied by Koreans?

옥: 그렇죠. 네.

O: Yes, it was.

한: 그 때 그 병원에서 일을 하시면서 어떤 생각을 하셨어요? 한국 사람들이 그냥 너무 가난하고 매일 매일 사람들이 줄을 서서 오고 그랬죠?

H: How did you think of that while you were there? Koreans were too poor at that time, so every day there was waiting line of them?

옥: 네.

O: Yes, it was.

한: 어떤 생각을 하셨어요, 거기에서 일하시면서?

H: How did you feel when you worked there?

37:30

한: 한국 사람과 그 상황에 대해서.

H: About Koreans and situations thereof?

옥: 그러니까 어떤 생각이라기 보단 좀더 많은 사람들이 치료, 도움을 받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은 항상 했죠. 그거는 뭐 그리고 왜 저기 피가 물보다 진하다는 말이 있잖아요. 그러니까 스웨덴 사람들하고 일은 하면서도 아무래도

O: Well, I had no idea but I hoped more and more people could get treatment or help. You know, there is a saying, “blood is thicker than water.”. I worked with the Swedish people

38:00

옥: 좀더 많은 도움을 한국 사람들이 받았으면 하는

O: but I had a wish that Koreans could get more support.

한: 그러니까 한국 사람들 입장에서 거기에서 일을 하신 거잖아요, 그쵸?

H: So, you did work on their side, didn’t you?

옥: 그렇죠, 네. 그럼요.

O: Sure, I did.

한: 그 때 생각나는 뭐 기억 같은 거 없으세요? 그 때 아주 가장 힘들었다던가 가장 보람이 있었다던가 하는 그런 일들.

H: Isn’t there any episode you remember? Anything seriously you suffered or anything worthwhile.

옥: 근데

O: Well,

38:00

옥: 내가 나는 그 때까지만 해도 교회를 나가는 사람이 아니었어요. 그러는데 딱 수술실에 내가 들어가면서 나도 모르게 나는 하나님께 내 온 모든 것을 맡깁니다. 그 때 그거는 잊혀지지가 않아요.

O: I was not Christian until I entered the Operation room. When I got there, I prayed to God that I would give him my all. I can’t forget it.

한: 왜 그런 생각을 하게 되셨어요?

H: Why did you do that?

옥: 아무래도 사람이 이렇게

O: Maybe I was

한: 무서워서?

H: afraid?

옥: 무서우면 그런 게 있겠죠. 그런데 내가 그 동안에 이야기를 들으니깐

O: From the fear, since there were some things I heard.

39:00

옥: 나는 모르는데, 그러더라고 뭐 괜찮게 참고 뭐 이렇게 등등, 근데 그건 그렇게 기쁜 일은 아니잖아요?

O: well, I had no idea, but it was said that I would be fine and so on. You know, anyway it was not that happy experience, right?

한: 네. 언제가, 제가 딱 한 가지만 여쭤본다고 하면은

H: Yes. Well, I would like to ask you about one thing.

옥: 네.

O: Yes.

한: 어떨 때 가장 행복하셨어요? 그 때 스웨덴 병원에서 일을 하실 때, 부산에 있는.

H: When was your happiest moment while you worked in the Swedish hospital in Busan?

39:30

옥: 언제가 제일 행복했느냐..

O: The happiest moment…

한: 언제가 가장 기뻤어요? 아주 보람 있었고.

H: When were you happiest? The most fruitful moment.

옥: 희한하게 그런 생각은 별로 나지 않고, 나는 천성이 사람을 좋아하는 사람이니까, 주로 사람들하고 이렇게 어울리고 하는 그런 게 좋았어요.

O: Strangely I can’t remember such moments but I just loved to be with people since I naturally liked to get along with people.

40:00

한:: 가장 기억에 남는 스웨덴 의사나 간호사 있으세요?

H: Is there any Swedish doctor or nurse you remember most?

옥: 그 저기 불행히도 나를 수술해 주시고 그 한 그 의사 분이 몇 년 전에 돌아가셨어요. 돌아가셨는데, 여기 쭉 와서도 계속 우리는 contact도 있고 이랬는데

O: Unfortunately, the doctor who operated me passed away few years ago. He passed away. After I came to Sweden, we kept in touch.

한:: 그 분 성함이?

H: What is his name?

40:30

옥: 스텐스럼이라고 그 분은 자기 100살 되기 한 달 남겨놓고 돌아가셨어요.

O: Stensrum.. he passed away before one month to be 100 years old.

한:: 아이고, 그 분이 수술을 해주셨고 계속 관계를 맺으셨고 정말 은인이네요. 그렇죠?

H: Sorry to hear that. He must be your savior, who operated you and kept good relationship with you., right?

옥: 네. 근데 지금도 그 가족들하고는 연락도 있고. 그리고 그 부인도 간호원이었어요. 그러니까 같이 나왔겠죠.

O: Yes, and I still keep in touch with his family. His wife was nurse. That was why they came to Korea together.

41:00

옥: 그리고 내가 그 사람들하고 1년 조금 넘게 같이 살았죠.

O: And I lived with them about more than a year.

한: 스웨덴에서?

H: In Sweden?

옥: 스웨덴에서. 그 사람들이 welcome 했으니까 내가 이리 왔죠.

O: In Sweden. I came to Sweden since they welcomed me.

한:: 아~ 그러니까 61년도에 스웨덴에 다시 수술 받으러 온 것도 그 닥터가 초청을 해서 온 거에요?

H: Um~ so, did you come to Sweden for surgery in 1961 since you were invited by the doctor?

옥: 네. 아니 그러니까 첫째는 영국의사 저쪽에서 나 모르게 다 여기저기 수소문 해가지고 이제 이 쪽에서 welcome 한다 하고 하니깐

O: Yes, no. At first, the British doctor asked around behind me and I was welcomed in Sweden, so..

41:30

한:: 굉장히 복이 많으세요.

H: You were so lucky.

옥: 네.

O: Yes, right.

한:: 그리고 일도 열심히 하셨고, 또 그걸 보고 외국 사람들이 그렇게 도와줄 그리고 뭐 그런 friendship이 생긴 거 아니에요, 그렇죠?

H: Of course you might work so hard that they were willing to help you and make friendship with you, right?

옥: 그렇다고도 볼 수 있죠. 네. 그런데 지금도 내, 그 분들 돌아가셨는데 내가 일할 때 너 스웨덴 가겠느냐 하니까 자기는 내가 좋아서

O: I think so. Before he passed away, he told me that when he suggested me to go to Sweden, he thought I would love to.

42:00

옥: 막 뛸 줄 알았대요. 그랬는데 그러지 않고 내가 왜 스웨덴을 가느냐고 그러면서 그래 이래저래 하고 그 닥터가 welcome 한다 이러니깐 내 생각 좀 해보겠다고 그러더래요. 그러면서 그 소리를 나한테 몇 번이나 하더라고요.

O: But I didn’t and asked him why. According to him, after I listened to his words, I told him that I  would consider it. He mentioned the episode several times.

한: 그래서 이 삶을 전체적으로 다 돌아보시면 정말

H: When you look back your whole life,

42:30

한: 아주 그 나름대로 파란만장한 삶이에요, 그렇죠? 그러면서도 굉장히 복이 있어서 많은 걸 누리셨고 그래서 이 모든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을 하세요?

H: it seems quite dramatic, doesn’t it? Also, since you have been so blessed that you could enjoy it. What do you think of that?

옥: 저는 나도 잊어버리고 모르고 있을 때에도 항상 내 곁에는 하나님이 계신다는 걸 믿어요.

O: I believe that God is always with me even when I forget he is.

43:00

옥: 왜냐하면 저는 경험으로 그렇게 생각을 해요. 이렇게 지나다 보면 무슨 큰 일을 하고 난 다음에 ‘가만 있어, 이건 내가 뭐 잘 해서 이런 건 아닌데.’ 이러면은 아하 맞았어. 그래 도와주셨지 이런 걸 제가 느껴요. 지금 이제 딸은 바로 여기 교회 옆에 하나 살고 있고 아들은 지금 한국에서 일하고 있거든요. 그런데

O: Because I have experienced. Whenever something good happened to me, then I thought and realized that it wasn’t achieved by myself but given by his grace, I could feel. Currently, my daughter lives near church and my son works in Korea.

43:30

옥: 그 놈들도 여기서 그야말로 나는 애들 기르면서 뭐 애를 먹인다 그런 생각을 해본 적이 없으니까 이 놈들은 학교도 여기서 바로 유치원서부터 대학까지 여기서 나왔으니까. 그 대신에 내가 기를 때 그 어떤 고통이 있었냐면 그 때만 해도 우리나라가 국력이 약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O: I didn’t think it was tough for me to raise them. They grew up and went to from kindergarten to university in Sweden. But there was one problem I had to solve. At that time the power of South Korea was quite weak. So, Koreans living in foreign countries thought

44:00

옥: 한국말이 그렇게 필요하다는 걸 사람들이 생각을 안 했다고요. 그래서 내가 맨날 애들하고 싸우는 게 한국말 해라. 한국말 해라. 그러면서 심지어는 흰 종이에다가 “한국말” 적어가지고 머리 핀에다가 꽂았어요, 내가. 엄마보고 말할 때는 한국말 하라고. 근데 그걸 애들이 하더라고요, 처음에는. 그러더니 유치원에 들어가고 학교에 들어가니까 친구들하고 스웨덴 말을 하니까 그리고 내가 스웨덴 말을

O: Learning Korean was not necessary. Therefore, always I had to argue with my kids to make them speak in Korean. Even I wrote “KOREAN” on white paper and put on my hair to let them see and use Korean whenever they talked to me. So it worked at first. But after entering the kindergarten, since they used Swedish with their friends and I could speak in Swedish..

44:30

옥: 할 줄 모르고 못 알아들으면 오히려 애들이 계속 한국말을 했을 텐데. 이것도 조금 이상한 소리 같지만 제가 스웨덴 말을 조금 괜찮게 해요. 어떤 사람들은 당신 여기 스웨덴에서 낳느냐 그러는 사람도 있긴 있는데. 그러니까 그러다가 보니까 이 놈들이 아무래도 그 한국말이 그래도 아들이 대학 다닐 때 연수를 불란서를 가느냐

O: If I didn’t know Swedish, they would keep speaking in Korean. It sounds strange but I can speak in Swedish very well, so some ask me that I was born in Sweden. Anyway, that was why my kids didn’t try to use Korean. When my son was a college student, he had to choose country for overseas training.

45:00

옥: 이 놈들이 불란서 학교를 다녔으니까. 불란서를 가느냐 한국을 가느냐. 그래서 아버지는 이렇게 조금 생각을 해보자고 하더라고요. 나는 당장 그랬죠. 한국으로 가라. 너희는 속은 희더라도 한국 사람이다 그래서 이 놈이 한국 서울대학교에 가서 1년 교환 학생으로 공부하고 왔죠. 이런 식으로.

O: Since they went to French school, so he needed to choose either France or Korea. My husband told them to have some time to think of. But I just told him to go to Korea and I said he was Korean not Swedish. So, he went to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Korea for a year as an exchange student. Like this,

45:30

옥: 그 때만 해도 그게 참 힘들었어요. 한국말 가르치는 게. 사람들이 그 때만 해도 왜 애들을 한국말을 가르치려고 그렇게 애를 쓰냐고. 근데 지금에 와서 뭐 우리 애들이 한국말을 그렇게 잘하지는 못하지만 하는 소리가 자기네들 참 후회한다고.

O: it was very difficult to teach them Korean. At that time, people around me didn’t understand why I tried to let them know Korean. Anyway, my kids are not really good at Korean. Now they say that they should have used Korean more.

한: 중요한 말씀이세요. 근데 이제는 한국이 굉장히 커졌고.

H: Very good point. But now South Korea becomes a powerful country.

46:00

옥: 네.

O: Right.

한: 그래서 다른 많은 나라들이 한국하고 관계를 맺으려고 하니까 2세, 3세들이 한국말을 할 줄 알면 그게 큰 무기가 되죠.

H: So many other countries try to ally with, so it will be very beneficial for the second and the third generation of immigrants to speak in Korean.

옥: 그럼요.

O: Sure.

한: 그럼요.

H: Yes.

옥: 지금 내가 손자들한테 너희가 세상 지식 다 가지고 있어도 한국말 안 하면 안 된다. 그리고 내가 한국 학교에서 교사도 하고 한국 학교 이사장도 했지만 한국 학교에서 내가 애들을 가르칠 때 그랬어요. 그 때는 환경이 요즘처럼

O: I usually tell my grandchildren that even though they have every knowledge around the world, you need to learn Korean first. I was a teacher in Korean school and also a board president there. I always taught them in every class that.. well, at that time

46:30

옥: 그야말로 정부 도움이 그렇게 많고 그런 게 아니었기 때문에 여섯 살에서 열 몇 살까지 한 곳에 데려다 놓고 가르치던 이런 시기었거든. 그래서 내가 특히 한국 가정에서 자라는 애들보고 너희는 한국말 해야된다. 예를 들어서 너희가 한국을, 세상 지식 다 넣어가지고 한국에 갔는데 한국 저기 그걸 뭐라고 그러죠?

O: the Korean school condition was not that good since th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was not enough. So, in one class there were students aging from 6 to 10. At that time I tried to let them, especially children of immigrant family, study Korean. Let me share one story. I told my students even though they have all knowledge around the world, if they can’t speak in Korean, well..what is it..

47:00

옥: 한국 저기 세관

O: the Korean customs..

한: 세관 통과하는 거요?

H: You mean clearance?

옥: 세관 통과할 때 너네 보고 영어하겠니, 한국말 하겠니. 그러면 한국말로 물어보면 아무것도 모르고 멀뚱멀뚱 하면 그 얼마나 바보냐. 이런 식으로. 그런데 아무튼 우리가 나와 살면 한국이 잘 살면 기분이 좋고

O: during the clearance process in Korea, the interviewers would speak to them in Korean not English and of course they would be embarrassed since they couldn’t understand what the interviewers say. I tried to let them understand like this. Anyway, if we are out of Korea, naturally we are happy when we hear good news about Korea.

한: 그렇죠.

H: Right.

옥: 한국이 어떻다 하면 그냥 짜증이 나고.

O: And feel annoyed where there is bad news.

47:30

한: 애국자세요.

H: You are a patriot.

옥: 그거는 자기도 모르게 나와 살면 애국자가 돼요.

O: It is natural for people living overseas to become patriots.

한: 그 전쟁 중에 스웨덴 병원에서 있었던 다른 일들 기억나시는 거 없으세요? 더 얘기 하고 싶으신?

H: Are there any other episodes you remember in the Swedish hospital during the war? Is there anything else you want to share?

옥: 기억나는 게 좀 괴상한 생각인데.

O: Well, it is kind of strange memory,

한: 네.

H: Ok.

옥: 거기 그 스웨덴 병원 옆에 바다가 있었잖아요. 그런데

O: The Swedish hospital was near the ocean. And

48:00

옥: 주로 나는 책을 읽기 좋아하는 사람이니까 어떤 미군 군인이 그야말로 아무 진짜 모르는 사람이죠. 근데 몇 마디 말을 걸더니

O: I liked to read books. One day, an American soldier, whom I didn’t know at all, came to me to say a word.

한: 병원 안에서?

H: In the hospital?

옥: 병원 안에서. 몇 마디 말을 그러니까 바깥에 바다 사람들도 있는. 그러더니 나보고 미국 안 따라가겠느냐고

O: In the hospital. He gave me some words. There were people outside, in the beach. Anyway, he suggested me to go to America with him.

48:30

옥: 그러면서 자기 아버지가 성형외과 의산데 여기서 수술 받지 말고 자기랑 미국 가자고. 그래서 그 때만 해도 외국 사람 상대하는 건 그 뭐 이상한 사람이잖아요. 그러니까 절대 아니라고. 그야말로 그래서 그런 일이 있었던 거는 생각이 나요.

O: He said that his father was a plastic surgeon and asked me to go to America with him to get surgery there, not here. But you know, at that time, it wasn’t considered good for women to deal with those foreigners. So I strongly refused. I still remember the happening.

한: 한국 사람 환자들 중에서

H: Among Korean patients,

옥: 네.

O: Yes.

한: 특별히 기억나는 분들 없으세요?

H: Is there anyone specific you remember?

49:00

옥: 있죠.

O: Yes, there is.

한: 어떤 사람?

H: Who?

옥: 근데 그 사람들이 한 사람은 충청도에서 오고 한 사람은 생각이 안 나는데 얼굴도 예쁘고 그야말로 외모는 어디 내놔도 빠짐없는 사람, 한 사람은 내 눈에는 김지미를 닮은 사람 같고 한 사람은 아주 그 때만 해도 키도 크고 상당히 뭐라 그럴까 약간

O: Among them, one was from Chungcheong-do province. For another one, I can’t remember but she had beautiful face drawing attention. One looked like I thought Kim Jimi and one was very tall.

49:30

옥: 그런 dark한 인상을 주면서도 잘생긴 여자, 그러고 병원 사람이. 근데 그 사람들이 죽겠다고 그 양잿물을 마시고 완전히 식도가 상해가지고 그렇게 들어와서 수술한 사람들이 있었어요. 그런 사람들.. 예.

O: She looked dark but beautiful. According to the hospital staff, they tried suicide by drinking the lye. So, they got surgery since the throat was severely damaged.

한: 그래서 어떻게 됐습니까?

H: So, what happened next?

옥: 그 사람들은…

O: They were..

50:00

옥: 아 그 중에 또 한 사람이 있었어요. 요 세 사람이 다 예뻐요. 다 예쁘고 근데 그 중에 한 사람은 이북에서 왔는데 이 사람이 아마 자기 온 가정을 돌보는 사람이었던가봐요. 그런데 이건 좀 이상한 소린데, 자기가 그 때만 해도 약혼자가 있었는데 약혼자가 여자가 예쁘니까 약혼자 친구가 무슨 괴상한

O: Um, there was one more. Those three were so beautiful. And one of them was from the North, who took care of her family by herself. It was weird but she had a fiancé. And a friend of him slandered her

50:30

옥: 엉뚱한 소리를 해가지고 이 사람을 그냥 차버렸어요. 그래가지고 이 사람이 고생을 많이 했거든요. 그런데 내가 아동보호 연맹에서 일을 할 때 나를 찾아와서 어떤 사람을 보내가지고 나를 찾아와서 그래서 그 사람을 내가 그 영국 의사한테 부탁을 해가지고 그 때만 해도 부산에 침례병원이라고 있었어요. 거기 보내서 제대로 수술을 받게.

O: Since she was beautiful. So, she was dumped and had very hard times. And then, when I worked in the association for children protection, she came to see me through someone. I asked the British doctor to help her to get surgery. There was the Baptist hospital in Busan.

51:00

옥: 그 때 수술을 그러니까 이게 아마 내장을 끌어올려서 식도를 만들었나 봐요. 근데 그거는 그 때만 해도 그런 수술은 힘들었거든요. 그래 이제 수술 끝나고 나니까 나를 찾아와서 너는 나보다 나이는 두 살 어리지만 엄마나 마찬가지다 라고 하면서 그걸 잊어버리지 않아요. 그리고 막 깍두기를 아작아작 먹길래 내가 어휴 조심하라고 조심하라고 그거

O: The surgery was to make a throat by taking up the intestines. It wasn’t easy at that time. After that, she came to me and said I was like mother to her even though I was two years younger than her. I can’t forget it. Also, she had kkakdugi (radish kimchi) so, I told her to be careful.

51:30

옥: 그랬더니 의사가 다 먹으라고 했다고.

O: And she said the doctor allowed her to have every food.

한: 그 스웨덴 아동 보호 연맹에서는 무슨

H: Could you explain what the Swedish association

옥: 아동 구호 연맹

O: The association for children protection

한: 아동 구호 연맹은 뭐 하는 단체에요? 무슨 활동이죠?

H: for children protection was? What activities did it do?

옥: 그게 무슨 단체냐면은 그러니까

O: What it was…

한: 고아원인가요?

H: Orphanage?

옥: 아니요. 부서가 네 개 있었어요.

O: No, there were 3 or 4 departments.

한: 네.

H: Ok.

옥: 그러니까 의료, 그 다음에 사회 사업부, 그 다음에 교육부, 그 다음에는

O: There were departments dealing with medical section, social business, and education, and..

52:00

옥: 저기 여기도 의료 계통인데 환자들 직접 치료하고. 근데 내가 일한 데는 여기 오기 전에는 그러니까 여기 오기 전에 한 일은 사회 사업부나 마찬가지였죠. 가난한 어머니들이 정말 어린애들 데리고 와서.

O: It was also considered as the medical center treating patients. Well, before then, where I worked  was a kind of social business department to which poor mothers brought their children.

52:30

옥: 그 때만 해도 어떨 때 내가 그 못 사는 아이들 아프리카 아이들 보여줄 때 맞아 우리 애들도 저랬어 하면서 내가 눈을 감는다고요. 그러다가 내가 여기서 공부하고 나가서는 내가 교육부를 담당했죠.

O: When I watch those poor African children, sometimes it brings me to come up with the children at that time and I just close my eyes. So after studying here in Sweden, I was in charge of the education department.

한: 내년이 한국 전쟁 발발 70주년이에요.

H: It will be 70th anniversary of Korean war next year.

옥: 네.

O: Yes.

한: 세상에, 20세기에 일어난 전쟁 중에서

H: Oh no, among wars in 20C

53:00

한: 70년 동안 전쟁이 완전히 끝나지 않은 경우는 없습니다. 70주년을 맞아서 선생님의 소감, 전쟁을 겪었고 스웨덴에 오셨고 또 스웨덴에서 한국을 바라보시면서 그 소감과 한국의 동포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있으세요?

H: this is the only one which has not been finished for 70 years. To mark the 70th anniversary, is there any comment you would like to share with Koreans, since you experienced war, came to Sweden, and have looked at Korea from Sweden?

옥: 첫째 하고 싶은 이야기가 젊은이들에게 정신차리십쇼 하는 이야기를 하고 싶어요.

O: First of all, I would like to say to the young that they have to be awaken.

53:30

옥: 그리고 어른들의, 경험 있는 어른들의 말을 좀 더 새겨서 자세히 듣고 그러면서 그야말로 현재 주어진 그 사람들에게 주어진 여러 가지 교육 제대로 받고 나는 이러면서도 젊은 사람들 굉장히 좋아하는 사람이에요.

O: Hopefully, they listen to the words of the elderly having more experiences and get educated. Well, I love the young people.

한: 네.

H: Yes.

옥: 그러니까 요즘 내가 보면은

O: Well, these days, I think

54:00

옥: 우리 젊은 사람들 내가 보면은 여자나 남자나 다 잘생긴 것 같고 근데 거기에다가 조금 이런 것만 보충을 하면은 정말 아주 그 단단하고 채워진 여러 가지로 그 머리에도 그리고 이 그 heart 에도 채워진 사람으로서 혼자만 생각하지 말고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는 도움도 줄줄 아는 사람.

O: those young people, both boys and girls, are so beautiful. So, if they add those things to their mind, they will become people who can care for not only themselves but also those who need help.

54:30

옥: 이런 사람들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O: I hope they will be like that.

한: 그리고 스웨덴 한국 분으로서 한국과 스웨덴의 관계에 대한 말씀 뭐 하실 말 있으세요?

H: And as a Korean-Swedish, are there any words you would like to mention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Sweden?

옥: 스웨덴하고 한국의 서로의 좋은 점, 우리 한국에 좋은 점이 많잖아요. 인정 많고 그야말로 베풀기 좋아하고.

O: Strong points of Sweden and Korea, well, there are many strong points in Korea that people are merciful and warm-hearted.

55:00

옥: 이런 거. 그리고 스웨덴 사람들의 좋은 점 이런 걸 서로 배워가면서 가끔 자리도 같이 하고 이야기도 하고 그런 게 계속 되기를 바라죠.

O: So, I hope those people in both countries will have chance to share those good things continuously.

한: 지금 현재 여기 한스협회가 있죠?

H: Currently, is there the Korean-Swedish Association in Sweden?

옥: 네.

O: Yes. it is.

한: 그 활동을 잘 하고 있습니까?

H: Is it doing well?

옥: 네, 잘 하고 나도 한스협회에서 그러니까 한 10년 이상을 일을 했어요.

O: Yes, it is. Well, I have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there for more than 10 years.

한: 네.

H: Yes.

옥: 했는데

O: I did.

55:30

옥: 지금은 조금 내가 그냥 뭐라 그럴까 그렇게 뭐 중간에서 이렇게 일을 하고 그런 건 아닌데 열심히 하고 있다고 보고 있어요.

O: Well, currently, I don’t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by myself anymore but I know they are doing well.

한: 네.

H: Ok.

옥: 특히 내가 보니까 그 샤스틴 같은 사람은 보니까 아주 active하게

O: Especially, Shasten, she is doing very actively,

한: 누구요?

H: Who?

옥: 샥스틴

O: Shasten.

한: 샤스틴?

H: Shasten?

옥: 네. 저기 그 러시 프리스크 부인

O: Yes, wife of Lush Frisk.

한: 아 커스틴?

H: Uh-huh, Kirsten?

옥: 네.

O: Right.

한: 네.

H: Ok.

옥: 여기 스웨덴에서는 샤스틴이라고 불러요.

O: In Sweden, we pronounce it Shasten.

한: 샤스틴, 아~

H: Shasten, Uh~

옥: 네.

O: Yes.

56:00

한: 네, 굉장히 적극적이고 그래서 이 모든 인터뷰를 그 분이 다 arrange 하셨어요.

H: Yes, she was so active that she could arrange this interview.

옥: 네.

O: Right.

한: 아주 감사 드립니다.

H: We really appreciate her.

옥: 네.

O: Yes.

한: 네. 또 하시고 싶은 말씀 없으세요? 혹시?

H: Then anything else you want to say?

옥: 하고 싶은 말이나 바라는 게 있다면 꼭 한국 사람만이 아니고 이 세상에 태어난

O: What I want to say and hope is not only Korean but also people

56:30

옥: 그러니까 사람으로 태어난 사람들은 나름대로의 그 특히 열심히 살려고 하는 사람들에게는 그야말로 의식주 해결이 제대로 되고 걱정 없이 살았으면 그건 정말 바람이죠.

O: in the world, especially people who are try to survive, can live without concerns about food, clothing, and shelter.

한: 스웨덴이 그게 잘 돼있죠?

H: There is a good welfare policy in Sweden, right?

옥: 잘 되어있는데 그게 때에 따라서는 다 잘 되어있지는 않아요.

O: It is good but sometimes it is not.

한: 아.

H: Mm-hmm.

옥: 내가 일할 때

O: When I worked,

57:00

옥: 여름 휴가철 되기 전에 한 어머니가 와서 이러더라고요. 자기 굉장히 기쁘다고. 뭐가 그렇게 기쁘냐 했더니, 내가 지금 일을 안 해도 자기 하는 일자리가 없어졌는데 일을 안 해도

O: before summer vacation season, one mother came to me and said that she was very happy. So, I asked why and she said that she didn’t work, I mean she lost her job but

한: 10년 동안이나

H: For 10 years

옥: 아니 아니 10년 동안이 아니고 일을 자기 직장에서 일을 안 해도

O: No, not 10 years but even though she didn’t work,

한: 돈을

H: money

옥: 세계에서 그러니까

O: In the world, I mean

57:30

옥: 돈을 받는 그러니까 보조금, 보조금이 더 많으니까 일 안 하고 잘 쉬게 생겼다고. 근데 그거는 좋지 않은 거거든요.

O: she got money, the compensation, and its amount was higher than her salary. So, she was happy to be well off without working. But it was not good to hear.

한: 그렇죠.

H: Right.

옥: 일 하는 사람, 일 하고 싶은 사람한테 기회를 주다가 주다가 안 되는 사람들한테 도움을 줘야지. 그야말로 일 안 했다고 1년 일 안 했다고 젊은 사람들한테

O: Such support should be given to people who try to survive but can’t meet any chance. But if young people who don’t work for only 1 year are given

58:00

옥: 그거는 그 사람들한테 나태하게 만들고 그 사람들을 도우는 게 아니라 그 사람들을 망하게 만드는 거라고 저는 생각하거든요.

O: such support, then they will become lazy. I believe it doesn’t help people to survive but destroys. them

한: 맞습니다. 오늘 너무 좋은 말씀 많이 해주셔서 감사하고요. 특히 한국 전쟁을 나름대로 겪으시고 스웨덴에서 한국을 바라보는 그런 말씀을 해주실 수 있는 게 굉장히 귀합니다. 그래서 잘 들었고요. 선생님, 계속 행복하시고 건강하시고 그리고 또 한국을 위해서 더

H: Yes, right. Thank you for sharing your great stories. In particular, it was so valuable time to listen to your words about your experience during Korean war and about your thoughts to Korea as Korean Swedish. Thank you for sharing. Mrs. Chun. I hope you be happier and healthier. Also wish you will love

58:30

한: 많은 사랑을 베풀어 주셨으면 합니다.

H: Korea more than ever.

옥: 감사합니다. 이렇게 좋은 일 하시니까. 아주 필요한 일을 하신다고 생각이 드네요. 계속 많은 발전을 가져오시고, 그야말로 세계 특히 우리나라에 와서 도움을 주신 그런 나라의 사람들도 좀더 알고

O: Thank you. Thank you for your work. I believe it is very necessary. Hope your business to be more prosperous and to give chance to know people around the world who came to Korea to help during the war.

59:00

옥: 그보다 먼저 제일 먼저 우리나라 젊은 사람들에게 필요한 거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이렇게.

O: And most of all, I believe it is essential for the young in Korea. Thank you so much.

한: 선생님, 기도를 해주십쇼. 저도 크리스쳔이고 하나님을 믿기 때문에 하나님이 인도하시는 거라고 생각을 하고 있고 기도를 많이 해주시면 그게 제일 감사하겠습니다.

H: Mrs. Chun. Please pray for us. As a Christian, I believe in God and I know He guides us. So, it will be highly appreciated that you pray for us.

옥: 네. 고맙습니다.

O: Ok. Thank you.

한: 감사합니다.

H: Thank you.

옥: 감사합니다.

O: Thank you.